본문 바로가기

◆ 상식 코너/♠ GPS-OruxMaps사용법

[스크랩] OruxMaps Off-Line 지도 만들기(Mobile Atlas Creator)

Oruxmaps 가 Off-Line 지도를 지원한다는 것은 다 아시겠지만..

Off-Line 지도가 뭐야 하시는분들을 위하여 몇 적겠습니다.

Oruxmaps를 실행하면 첫 화면에 4가지 선택메뉴가 나옵니다.

첫번째아 세번째가 사용할 지도를 선택하는 메뉴인데요.

첫번째는 Off-Line 지도를 선택하는 것이고

세번째는 On-Line 지도를 선택하는겁니다.

 

On-Line지도는 말그대로 휴대폰의 네트워크로 지도를 받아서 사용하는겁니다.

장점은 별도로 지도를 만드는 수고를 하지않아도 된다는거죠.

Off-Line 지도가 없으면 당연히 이것을 선택할 수 밖에 없겠지만

장점에 비해 아래와 같은 단점이 너무 많은것 같습니다.

1. 통신비죠..

데이타무제한이 아니면 대략 난감입니다.

몇시간 산행하고나면 통신비 장난이 아닐겁니다.

2. 지도가 열리는데 시간이 걸릴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서 지도가 화면에 펼쳐지는데 시간이 걸려서 답답할 수 있죠.

깊은 산중에 통신이 안되는곳은 당연히 지도보기 힘들겠죠.

3. 지도가 단조롭습니다.

일반 도심지의 도로나 건물들은 자세하게 나오겠지만

산행에 필요한 산악용 지도는 입맛에 잘 안맞습니다.

....

 

Off-Line 지도는 컴퓨터에서 필요한 지도를 미리 만들어서 사용하므로 속도가 아주 좋고 네트워크가 안되어도 걱정없습니다.

Off-Line 지도를 만드는 방법은 대략 두가지정도로 설명드리겠는데요.

여기서는 Mobile Atlas Creator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먼저 이프로그램은 자바기반에서 돌아가는거라 아래 링크에서 자바를 설치 합니다.

http://www.java.com/ko/

 

다음은 아래 링크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압축을 풀면 실행이 가능합니다.

http://sourceforge.net/projects/trekbuddyatlasc/files/

압축을 푼 다음 Mobile Atlas Creator.exe 파일을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아래와 같이...

 

 

이렇게 짱하고 실행되었으면 지도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우측 지도화면에 세계지도가 펼쳐졌을겁니다. (아닐수도 있겠지만..)

마우스 오른쪽 버턴으로 찍어서 움직이면 지도가 움직입니다.

대한민국 잘 찾아서 중앙으로 옮기고 왼쪽 버턴으로 더블클릭하시면 한단계씩 줌인될겁니다.

아니면 지도화면 좌상단의 줌레바를 이용하셔도 되고요.

적당하게 필요한 지역을 화면에 띄웁니다.

저는 포항지역을 띄웠습니다.

 

 

여기서 잠깐 ... 지도의 종류를 잠깐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지도의 종류는 아주 많습니다만 대동소의합니다.

지도의 종류를 보시려면 프로그램 좌상단쯤의 map source의 아래부분을 클릭하면 나옵니다.

아래그림의 Map source 란 글자 아래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 지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제 경험으로는 Google Maps, Google Eath, Google Terrain 3가지가 가장 무난한것 같습니다.

다른것들 다 봤는데...그놈이 그놈이었습니다.

위에 나와있는 그림이 Google Maps 입니다.

Google Eath는 구글에서 지원하는 위성사진이고, Google Terrain 은 등고선이 나오는 지도입니다.

한번씩 찔러서 확인해보시면 금방 압니다.

 

지도를 선택하였으면 Off-Line 지도로 저장할 영역을 선택합니다.

영역은 사각으로 선택을 하는데요

영역 좌측상단 부분을 마우스 좌측버턴으로 찌른후 버턴을 누른상태에서 대각선 반대쪽 영역점까지 끌은후 버턴을 놓습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영역이 선택표시됩니다.

 

 

다음은 필요한 줌레벨을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이...

줌레벨은 갤럭시에 넣어서 지도를 볼때 확대, 축소할 레벨입니다.

 

 

다음은 Atlas Content 아래의 Clear 를 한번 눌러서 내용들을 지운다음

Add selection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Layer 가 생깁니다.

다음은 그아래 Name 란에 적당한 이름을 줍니다.

다음은 바로 밑의 Atlas settings 의 Format을 OruxMaps Sqlite로 선택을 합니다.

그다음 그 밑에 있는 Create Atlas를 누르면 지도가 저장됩니다.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아래오 같이 되면 완료가 된겁니다.

 

 

Close window를 클릭하면 메세지가 없어지는거고, Open Atlas Folder를 클릭하면 아래그림과 같이

저장된 폴더를 보여줍니다.

 

 

위그림의 우측창 pohang_2010......폴더에 들어가면 pohang 이란 폴더가 있습니다.

이 pohang 이란 이름은 저위에 Name 에 지정한 이름입니다.

그것을 폴더째로 갤럭시의 Oruxmaps\Mapfiles 란 폴더안에 넣어면 됩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갤럭시에 넣고나면 아래와 같은 경로가 되어야 합니다.

Oruxmaps\Mapfiles\pohang 이란 경로가 되어야 되고

그안에 OruxMapsImages.db, pohang.otrk2 두파일이 들어있으야 합니다.

 

 

PS. Error - SQLite available 대처방법

 

Atlas Creator로 지도를 만들때 Formate을 OruxMaps Sqlite로 설정을 하면 에러가 뜰 수 있습니다.

 

 

OruxMaps 와 OruxMaps Sqlite 두 포멧의 차이는...

제가 자세하게 이해는 못하고 있지만

OruxMaps 로 설정을 하고 지도를 만들면 여러조각의 지도그림이 생깁니다.(아주 많이)

하지만 사용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OruxMaps 어플을 실행시켜 현재위치가 움직이면 자동으로 화면에 나와야할 지도들이 로드되는거죠

OruxMaps Sqlite 는 지도파일이 하나로 만들어집니다.

제가 보기엔 여러조각의 지도를 압축방식으로 파일하나로 만드는것 같습니다.

어차피 폴더째로 휴대폰에 옮겨 사용하는거니 어떻게 만들든 상관이 없겠죠.

모르겠습니다. 또다른 큰 차이점이 있을지는...

 

해결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sqlitejdbc-v056.jar 파일이 필요합니다.

 

예전에 어데서 다운받았는데...

그곳을 찾지못하겠군요.

 

파일을 첨부로 올립니다.

다운받아서 그대로 Atlas Creator 가 있는 폴더에 넣어세요.

 

 

 

첨부파일 sqlitejdbc-v056.jar

출처 : 안.드.로.이.드.지.피.에.스
글쓴이 : 안드로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