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상식 코너/♠ GPS-OruxMaps사용법

스마트폰으로 Oruxmaps오프라인 GPS 하는 법

스마트폰으로 Oruxmaps오프라인 GPS 하는 법
 

전화가 않는 오지에서나 외국 여행지에서도 비싼 로우밍이나 데이터 서비스 비용 없이 스마트 폰을 무료 GPS 사용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사용법을 알려 드립니다.

지난번 Trekbuddy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다가 최근 oruxmaps 라는 프로그램으로 바꿔 사용하고 있는데 편리한 점이 많아 oruxmaps 프로그램을 기준하여 사용법을 알려 드립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의 마켓에서 oruxmaps 검색하여 Oruxmaps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프로그램은 공짜지만 별도의 지도를 다운받아 폰에 저장해야 지도를 불러내어 사용할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oruxmaps 프로그램을 설치하신 분들께 오늘 산행에 사용한 Buntzenlake 지도를 첨부파일로 올립니다. 2개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에 다운 받아 이것을 BuntzenLake 라는 폴더를 만들어 이 폴더 안에 넣습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이2개 파일이 들어있는 BuntzenLake 폴더를 스마트폰의 oruxmaps/mapfiles/ 의 하부 폴더에 통째로 넣어줍니다.

이제 oruxmaps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select map offline 에서 이 지도를 불러와 여러가지 GPS 작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은 컴퓨터에서 오프라인 지도 만들기 작업에 대한 설명입니다.

Mobile Atlas Creator (MOBAC) http://mobac.sourceforge.net/ 밑부분에서 다운로드 클릭하여 프로그램 다운로드-saving-압축풀기-install-해당 폴더에 찾아가 mobile atlas creator 실행

이게 다운로드가 안되면 다음 사이트에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http://www.backcountrynavigator.com/content/creating-offline-maps-android

Mobile Atlas Creator 프로그램 실행

간단한 사용법:

세계 지도가 나오는데 마우스의 오른쪽 다운하여 이동하면 지도 위치 변경, 왼쪽 다운하여 드래그하면 원하는 부분의 지도 선택.

왼쪽 메뉴에서 map source 단추 누르면 수많은 지도 종류가 나오며 등고선 지도는 OpenStreetMap CycleMap (혹은 일반 도시에서 mapnik 등의 지도 사용) 선택.

Zoom Levels 에서 통상 16 이면 상세한 지도, 14 정도면 제법 넓은 지역의 적당한 지도가 되며 2-4 정도 레벨을 클릭하여 지도 다운로드하면 좋음.

상단 레벨 단추를 눌러 축척 조정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

밑부분 new 눌러 name of the new atlas 에서 수많은 atlas format 있으며 중에서Oruxmaps Sqlite 를 선택, OK 클릭.

Name Whistler 등으로 지도의 지명 입력하여 지도명 작성.

원하는 부분 지도 선택하여 분홍색으로 선택된 영역을 Add Selection 클릭.

Atlas Content 에서 필요시 지도 이름을 unnamed atlas rename, oruxmaps Sqlite 확인후 Create atlas 클릭하여 원하는 해당 지도 다운로드. 이때 정도 (/ 말고, 시의 일부분만) 좁은 구역만 선택하여 다운로드후 실험해 보고 차츰 넓은 지역으로 확대하는 것이 이해에 도움이 .

새로운 창이 열리면서 해당 레벨에 따라 지도를 다운로드하게 되는데 Ignore download errors and continue automatically 를 클릭해 두면 중간에 에러가 나더라도 계속해서 다른 부분의 지도를 계속 다운로드할 수 있게 됨.

Settings 에서 Map size 에서 제일 큰 숫자를 선택.

oruxmaps sqlite 가 되지 않으면 sqlite 파일인 sqlitejdbc-v056을 다운로드하여 이 파일을 압축을 풀어 mobac 프로그램 속에 넣어야 작업이 됨.

 

컴에 저장된 지도를 모두 복사하여 스마트 폰으로 넣어야 하는데 desktop – ownername – downloads – mobile atlas creator – atlases의 하부 폴더에 저장된 해당 지도 파일 폴더를 oruxmaps/mapfiles/ 아래에 하위 폴더로 통째로 모두 넣어줍니다.

위의 mobac 을 이용한 오프라인 지도 만들기는 10/15 산행후 뒤풀이에서 노트북 컴퓨터와 oruxmaps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가지고 오신 회원분들께 직접 사용법을 알려드릴 예정입니다. 노트북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준비해 오시기 바랍니다.

 

, 한숨 돌리고 이제 스마트 폰에서

설정 (setting) 에서 장소및보안에서 GPS 위성사용과 센서보조사용에 체크, 무선네트워크에서 비행기탑승모드에 체크.

 

이제 본게임으로 oruxmaps 실행하여 메인 메뉴에서 6개의 아이콘이 나오는데

Map offline here : 현위치로 GPS 를 불러온다

Select map offline : 오프라인 지도를 불러온다

Map online : 네트워크나 와이파이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지도를 불러온다

Tracks : 기록된 트레일 파일을 불러온다

Waypoints : 트레일 중간에 이정표를 기록한다

settings : 기기 사용상의 여러 가지 설정을 한다

 

select map offline 클릭하여 해당 오프라인 지도 불러 . 전화기에 미리 만들어 넣어두었던 해당 지역의 지도 하나를 불러 .

 

 

 

스마트 지도의 오른쪽 상단 귀퉁이에 원 속의 나침반이 나타남.

커브길 모양의 트렉 사인 눌러 Start GPS 눌러 GPS 작동시켜 현위치를 찾아 지도상에 커서가 제대로 표시되면 Start Rec 눌러 트렉 기록 시작. 이동간의 경로가 지도상에 나타남.

압정 모양의 Waypoint 눌러 Create 눌러 트렉 도중에 이정표를 글자로 기록. Photo wpt 눌러 사진으로 찍어 기록 가능.

직선길 모양의 루트 눌러 이전의 트렉 기록을 불러와 이 트렉을 따라 길을 찾아갈 수 있음.

지구본 모양의 지도 눌러 New Map 에서 새로운 지도를 불러내거나 Move to 에서 원하는 지점으로 가기 위한 목표점 지정 등을 할 수 있음.

Oruxmaps 프로그램 사용법에 대한 기타 자세한 사항은 사단법인 한국등산안전협회의 GPS 어플 Oruxmaps 4.0.0 설정 및 사용설명서 http://upmc.kr/xe/request_member/17137 사이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BuntzenLakeTest.otrk2.xml

 

첨부파일 OruxMapsImages.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