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상식 코너/♠ GPS-OruxMaps사용법

[스크랩] Oziexplorer로 지도 매칭하기

1.

아래 글들이 맘에 안들어서 새로 작성했읍니다.

설정화면입니다. 이곳에서 경위도의 형식과 동경, 북위를 결정합니다.

동경과 북위 도분초의 형식을 결정합니다. 도분초로 하는 이유는 변환이 필요없이 알맵과 같은 형식으로 만들기위함입니다.

위와 같이 세팅하여 당연히 저장해야겠지요.

이미지를 로딩하기위한 메뉴입니다.

금정산을 불러옵니다. 부산의 허파와 같은 곳이지요!

이미지를 로딩하면 위와 같이 됩니다. 우측에 Point 1 과 Point 2 를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Point 1 을 클릭하고 스크롤 바를 움직여서 대저분기점의 중앙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숫자 1 과 함께 적색의 동심원이 생깁니다.

알맵을 실행하고 지도를 움직이어서 대저분기점의 중앙에 손바닥을 가져가면 하단에 나타나는 위도와 경도의 좌표를 적어놓읍니다. 여기서는 주변이 보이도록 확대를 적게하였읍니다. 크게 확대할수록 정밀해집니다.

알맵 좌표값을 입력했읍니다. 도는 별도칸이고 분과 초는 스페이스 바를 눌러 뛰워야합니다. 만약 분의 값이 "0" 이면 "0"을 기입해야합니다.

Point 2 를 클릭하고 동면초등학교부근의 고속도로 굴다리를 클릭합니다.

알맵으로 되돌아가서 외송2교 굴다리의 좌표를 적어둡니다.

Point 1 과 동일한 형식으로 좌표값을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맵의 이름을 넣어야 겠지요. 당연히 금정산 이미지이므로 금정산으로 결정합니다. 처음 매칭하면 위 그림의 커서부근에는 "금정산" 이 안보입니다.

저장이 완료되면 우측단의 매뉴는 사라지고 큰 지도화면만 보입니다. 이제 지도가 정확도를 검증하기위해 궤적을 불러봅니다.

금정산 병합궤적을 불러옵니다. 병합궤적이어야 좌우 상하의 위치편차를 확인할수 있읍니다.

조금 안맞읍니다. 좌표값의 취득이 잘못된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알맵은 경우에 따라 30미터의 오차를 보입니다. 위 그림은 죄측으로 지도를 옮겨야합니다.

그림을 넣지않고 글로 표현합니다. 사용자가 약간의 공부를 해야할 것이라 생각되어 그리합니다.

편차는 위의 2차선 도로를 기준으로 보면 도로폭정도의 오차로 보입니다.

그럼 얼마의 값을 넣어야 할까요? 종이지도 상의 도로폭은 2차선도로의 경우 실제보다 4 배 정도 크게 표시되어 있읍니다.

한국에서는 1초의 편차를 거리로 환산하면 북위는 30미터 경도는 27미터의 편차를 보입니다.

수정하는 메뉴는 이미지 부르기의 바로 밑에 있읍니다.

경도값을 어떻게 ( + , - )할것인지도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이상 오지에서 지도 매칭하기였읍니다.

 

2.

등산매니아지도를 이용한 오지익스플로러 매칭하기입니다.

매칭에 앞서 설정을 먼저 살펴봅니다.

설정매뉴입니다.

Configuration을 클릭할때 나타나는 "System" 메뉴입니다. 별로 손볼것이 없읍니다.

"Maps" 를 클릭할때 나타나는 설정화면입니다. 초기 설정화면은 위와 다르게 나타날 수도 있읍니다.

도분초로 고칩니다.

북위와 동경으로 고칩니다.

"Map Images" 를 클릭 할때 나타나는 설정메뉴입니다. 지도의 경로를 보여줍니다만 손볼 것이 없읍니다.

"GPS" 관련 설정화면입니다. Ozi는 PC용 트레킹 프로그램으로도 쓸 수가 있읍니다. 수신기와 연결하여 등산용으로 사용하시려면 이 이후를 설정하여야 합니다. 지도를 매칭할 목적이므로 필요가 없읍니다.

이미지 파일을 로딩하는 메뉴입니다.

칠갑산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불려진 칠갑산이미지입니다. 매칭을 하기위한 우측 메뉴가 생깁니다.

우측 1 부분의 "Point 1" 탭을 클릭하고 좌측 2 부분의 적당한 지점을 클릭합니다.

등산매니아를 실행시키고 칠갑산지도를 불러 오지에서 클릭한 지점의 중앙을 정확하게 클릭하면 나타나는 좌표가 필요한 경, 위도입니다. 도분초의 포맷입니다.

등매에서 얻은 좌표를 타이핑 합니다.

우상측 1 부분 "Point 2" 를 클릭한 후 우하측 2 부분의 지점을 클릭합니다.

등매로 돌아가서 오지에서 잡은 지점의 중앙을 정확하게 찍어서 좌표를 얻어옵니다.

등매에서 얻은 좌표를 집어넣읍니다.

"Save" 단추를 눌러 저장합니다.

당연히 "칠갑산"으로 저장합니다.

매칭이 완료된 후 입니다. 우측에 보이던 메뉴가 사라졌읍니다.

칠갑산 궤적(*.plt)를 불러서 매칭을 확인합니다. 필수입니다.

출처 : 요산요수산행방
글쓴이 : 요산요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