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상식 코너/ ♠ 카메라 상식

기본적인 카메라 용어

 

 

기본적인 카메라 용어 입니다. (꼭 알아야겠죠)|

순돌이아빠 카페 회원님들 중 카메라에 대해 모르시는분들이 상당수 있을거라 예상됩니다.

저또한 그렇구요...........

그래서 기본적인 카메라 용어에 대해 정리를 해봣습니다.

우선) 많이쓰는 카메라렌즈  용어.

 

1 아빠 백통 : EF 70-200mm F/2.8L IS USM
2 엄마 백통 : EF 70-200mm F/2.8L USM
3 형아 백통 : EF 70-200mm F/4L IS USM
4 애기 백통 : EF 70-200mm F/4L USM
5 백마 : EF 100mm F/2.8 macro USM
6 흑통 : EF 80-200mm F/2.8L
7 대포 : EF 200mm F/1.8 USM
8 만두 : EF 85mm F/1.2L USM
9 아빠만두 : EF 50mm F/1.0L USM
10 애기만두 : EF 85mm F/1.8 USM
11 50 점사 : EF 50mm F/1.4 USM
12 점팔 :EF 50mm F/1.8
13 L렌즈 삼총사 : EF 16-35mm F/2.8L / EF 24-70mm F/2.8L / EF 70-200mm F/2.8L
14 육십마 : EF-S 60mm f/2.8 Macro USM
15 삼식이 : SIGMA 30mm F1.4 EX DC HSM 07.05.15
 
 
인물용렌즈로는 : 쩜팔, 애기만두, 만두, 만투 ,아빠백통 ,대포등 이  많이 쓰인다고 하네요.
 

등등 ...이런식으로 부르더군요....

 

용어를모르면 카메라 강좌싸이트에 가서 봐도 뭔말인지 모르겠더군요..

여기서 기초를다지고............카메라 전문가가 되시길..

 

액정모니터 (LCD)

디지탈 카메라, PC 및 노트북용 모니터, 캠코더에 많이 쓰이는 액정 화면으로
디지탈 카메라에는 일반 TFT 타입과 해상도가 높은 저온폴리실리콘 타입의 LCD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밝은 실외 촬영시 액정모니터를 사용하여 촬영을 하면 빛이 반사되어 잘 보이지 않는 특성이 있다.

자동 노출 (automatic exposure)

적정한 노출이 되도록 카메라가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노출방식이다.

적목현상 (red-eye effect)

플래쉬를 사용한 촬영에서 인물의 눈동자가 토끼처럼 빨갛게 표현되는 현상이다.
이는 플래쉬의 빛이 망막의 모세혈관에 반사되어 발생하는 것이므로 적목감소 모드로 촬영을 하면
촬영 전에 미리 플래쉬를 터트려 동공을 작게 하여 적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접사 (close-up)

클로즈업과 같은 의미로 피사체에 접근하여 촬영한 사진을 말한다. 근거리 촬영보다 더욱
피사체에 접근하여 촬영한 것으로 피사체의 작은 부분을 확대촬영하거나 꽃이나 곤충을 가까이에서 촬영한다.

조리개

카메라 렌즈의 구경을 조절하여 필름면에 도달되는 빛의 밝기와 피사계 심도를 조절하는 기구이다.

줌(Zoom)

먼 거리의 피사체를 가까이 있는 것처럼 확대촬영할 수 있는 기술로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기능이다.
줌은 렌즈를 조절하여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광학 줌과 촬영시 화상의 일부분을 잘라내어 화상을 확대하는 디지탈 줌이 있다.
디지탈 줌은 광학 줌에 비해 화질이 저하된다.

카드 리더 (Card Reader)

촬영된 데이타를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USB 방식과 패러렐 방식이 있으며
메모리를 카드 리더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시리얼 포트에 비해 속도가 확실히 빠르고 전송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컴팩트 플래쉬 (Compact Flash)

디지탈 카메라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 중의 하나로 작고 가벼워서 많은 제품에 많이 쓰인다.
타입 l과 타입 ll를 지원한다.

트리밍 (trimming)

촬영이 끝난 후에 화면 구성을 하는 것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확대시 정리하는 것을 말한다.
크로핑(cropping)이라고도 한다.

파노라마 (panorama)

파노라마 촬영모드로 전환하여 찍고 싶은 구도를 촬영범위 내에 넣어서 재미있는 사진을 연출할 수 있는 기능이다.
파노라마 촬영모드를 따로 지원하는 카메라도 있으며 프로그램을 통해 간단하게 편집할 수도 있다.

플래쉬 (flash)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쉬 모드에는
자동플래쉬,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플레어 (flare)

렌즈로 들어오는 빛이 렌즈 면이나 렌즈 경통 내 혹은 카메라 바디 내에서 반사되어 선명도를 떨어지게 하는 것을 말한다.

피사체

촬영되는 대상물을 말한다. 사진의 주제가 될 대상의 인물이나 풍경, 정물 등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픽셀 (pixel)

화소, CCD를 말할 때의 단위가 픽셀이다. 보통 해상도를
640 x 480 / 800 x 600 / 1,024 x 768 / 1,280 x 960 등으로 표현하며 숫자가 클수록 고 화질을 의미한다.

하이 앵글 (High angle)

높은 각도에서 아래로 내려보며 촬영하는 방법이다. 이는 객관성이 강한 앵글로 로우 앵글과 대조적이다.
하이 앵글로 촬영을 하면 상황의 전체가 보이므로 설명적인 표현이 가능하다.

화소수

디지탈 카메라가 얼마나 많은 픽셀로 이미지를 표현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 화소수이다.
CCD의 성능을 말하는 것으로 화소수가 높을수록 좀 더 고 화질의 이미지를 구현한다.

화이트밸런스

이미지의 가장 밝은 부분이 흰색이 되도록 빨간색과 녹색, 파란색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 조절기능을 사용하면 일광용 표준 RGB 밸런스로부터 이탈된 광선을 보정할 수 있다.

화질 (image quality)

렌즈는 완전한 것이 아니므로 약간의 수차가 있다. 이런 수차 때문에 화상은 모두 만족할만 하지 못한 경우가 있는데,
화상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데 쓰이는 말이 화질이다.

후드 (lens hood)

렌즈에 입사하는 광선 중 화각 바깥쪽의 빛은 내면반사와 플레어의 원인이 된다.
이런 유해 광선과 먼지, 오물이나 빗방울로부터 렌즈를 보호하기 위해
렌즈 앞에 장착하는 렌즈 가리개를 후드라 한다.





광각 렌즈 (wide-angle lens)

표준렌즈보다 초점 거리가 짧은 렌즈를 말하며 화각이 60도 이상으로 넓다.
일반적으로 28~40mm 정도를 말하며 25mm 이하는 초광각 렌즈로 구분한다.
표준렌즈에 비해 넓은 범위로 찍히며 촬영 대상이 렌즈에 가까울수록 크게 과장된다.
광범위하게 촬영되고 배경은 작게 찍히므로 원근감이 강조된다.

광원

사진에서 말하는 광원은 촬영용 조명 광원을 말한다.
자연광으로는 태양, 인공광으로는 사진전구, 스트로보, 플래쉬 벌브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줌 (optical zoom)

실질적으로 다중 초점 거리를 갖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광학 줌은 디지탈 줌과는
구별되고 여러 개의 렌즈를 조합해서 움직이므로 초점 거리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으며
다양한 화각과 원근감 또는 멀리 있는 사물을 크게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보통 2~3배 줌 이상을 내장하고 있는 제품이 많고 단초점 렌즈보다 선호하는
편이지만 렌즈밝기가 어두워지는 단점이 있다.

노출 (exposure)

감광재료의 감광면에 빛을 작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일본의 광학용어 원안작성위원회에서는 대체적으로 수동측의 감광재료를 주체로 한 경우에는
노광으로 인간이나 조리개, 셔터 기구등 빛을 주는 측을 주체로 한 경우에는 노출로 정리하고 있다.

디지탈 줌 (digital zoom)

촬영시 보여지는 이미지나 촬영한 사진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기능으로
디지탈 줌을 사용하여 촬영하면 이미지의 해상도가 많이 떨어진다. 멀리 있는 피사체를
확대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미지의 저하로 자주 사용하지는 않게 된다.

렌즈 (lens)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한 개 이상의 광학유리로 만들어진 광학 기구를 말한다.
렌즈의 크기와 곡률, 배치가 렌즈의 초점거리와 화각을 결정한다. 피사체에서 반사된
빛은 CCD로 들어가기 전 렌즈를 통해 CCD에 초점이 맞추어 지는데, 디지탈 카메라의
렌즈는 CCD 전용렌즈가 사용되며 자동 초점방식과 수동초점 방식이 있다.
필름 카메라와 달리 렌즈를 교환할 수 있는 제품이 별로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렌즈밝기 (F값)

렌즈의 초점 거리를 유효구경으로 나눈 것을 F로 표시하고 렌즈밝기라 한다.
F값은 그 수치가 낮을 수록 렌즈가 밝다.

매크로 (macro)

작은 피사체를 가까이에서 촬영하는 기능으로 최단거리로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

매크로 렌즈 (macro lens)

근접 촬영을 위해 설계된 렌즈로 마이크로 렌즈 또는 접사 렌즈라고 불린다.

메모리 카드

내부 메모리는 일정한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디지탈 카메라는
외부 보조 저장 매체격으로 전용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다.
메모리의 종류로는 PCMCIA 카드, 고체 메모리 카드, 3.5" 플로피 디스크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 메모리카드를 사용하는데, 컴팩트 플래쉬 카드와 스마트 미디어 카드가 있다.
이 외에도 마이크로 드라이버, 메모리 스틱, SD 메모리 카드, 멀티미디어 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발광금지

플래쉬 모드 중 발광을 금지하는 모드로 야경이나 실내의 분위기 있는 사진을 표현할 경우 사용한다.

발광 다이오드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뷰 파인더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를 말한다.
저전압 소전력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비교적 빠르므로 전가기기의 표시장치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배터리

디지탈 카메라는 액정 모니터와 플래쉬 등 전자부품의 동작으로 전력 소모가 많은 편이다.
배터리에는 알칼라인, 니카드, 니켈수소, 리튬이온 전지가 주로 사용되며
전력소비를 대비해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벌브 (bulb)

셔터속도의 일종으로 B셔터라고 한다. 셔터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셔터가
계속해서 열린 상태로 있고 셔터에서 손을 떼면 셔터는 닫힌다.

뷰 파인더 (viewfinder)

촬영할 피사체를 보고 구도를 설정하기 위한 카메라의 작은 창으로 일안 리플렉스 방식과 이안 방식이 있다.
일안 반사식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이 뷰 파인더에 전해지므로 시차가 없다.
뷰 파인더는 실제로 촬영되는 피사체를 그대로 보여주는 광학식 뷰 파인더와 액정 화면에서
보여지는 이미지가 그대로 전달되는 전자식 뷰 파인더로 나눌 수 있다.
일부 디지탈 카메라에서는 액정 화면의 채용으로 뷰 파인더를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

보정필터

광원의 색조직을 조절하여 육안에 의한 명암감이나 색채감에 가깝게 사진을 만들기 위한 필터를 보정 필터라고 한다.

비구면 렌즈

복합렌즈를 구성하는 모든 렌즈의 표면은 구면의 일부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이는 모두 구면수차의 원인이 된다.
특히 대구경의 렌즈에서는 복합렌드의 여러 매 중 1매 이상을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여 구면수차를 개선한다.

셔터 (shutter)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기계 장치이다.
셔터는 조리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수동 노출 (manual exposure)

촬영자가 조리개 값과 셔터 속도를 결정하는 노출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수동모드를 말한다.

실루엣 (silhouette)

피사체보다 배경이 훨씬 더 밝게 조명된 사진을 말한다. 즉 피사체의 윤곽선으로 된 그림자인데,
이는 역광촬영으로 피사체를 검게 표현하게 된다.

 

----여기까지출처 다음카페초원에 향기 ---

 

카페24시 / 순돌이아빠 / 사주기 / 적어주기 / 쇼핑몰 / 개인쇼핑몰 / 옥션 / 전자상거래 / 카사노바 / ca4nova / 운영자 / 도매 / 소매 / 유통 / 위탁 / 거래  카페24시 / 순돌이아빠 / 사주기 / 적어주기 / 쇼핑몰 / 개인쇼핑몰 / 옥션 / 전자상거래 / 카사노바 / ca4nova / 운영자 / 도매 / 소매 / 유통 / 위탁 / 거래